티스토리 뷰
근로소득을 얻는 모든 직장인들은 근로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. 하지만 세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,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텐데요. 🤔 오늘은 2024년 근로소득세 계산법을 쉽게 설명해드릴게요! 💡
✅ 근로소득세란?
근로소득세는 직장에서 받는 급여(연봉, 상여금, 각종 수당 등)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 매월 급여에서 원천징수되며, 연말정산을 통해 최종적으로 정산됩니다.
📌 근로소득세 계산 공식
과세표준 = 총급여 – 비과세 소득 – 근로소득공제
근로소득세 = 과세표준 × 세율 – 누진공제액
이제 2024년 근로소득세율과 공제 항목을 살펴보겠습니다. 👇
🔹 2024년 근로소득세율
근로소득세는 누진세 방식으로 부과됩니다. 즉, 소득이 높을수록 세율도 올라갑니다.
과세표준 (만원)세율누진공제액 (만원)
1,200 이하 | 6% | 0 |
1,200 ~ 4,600 | 15% | 108 |
4,600 ~ 8,800 | 24% | 522 |
8,800 ~ 1억5천 | 35% | 1,490 |
1억5천 ~ 3억 | 38% | 1,940 |
3억 ~ 5억 | 40% | 2,540 |
5억 ~ 10억 | 42% | 3,540 |
10억 초과 | 45% | 6,540 |
💡 예시: 과세표준이 5,000만 원인 경우
👉 5,000 × 24% – 522 = 678만 원
🔹 근로소득 공제 계산법
근로소득공제는 총급여에서 일정 금액을 차감하여 과세표준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.
총급여액 (만원) | 공제율 | 공제액 |
500 이하 | 70% | 총급여 × 70% |
500 ~ 1,500 | 40% | 350 + (총급여 – 500) × 40% |
1,500 ~ 4,500 | 15% | 750 + (총급여 – 1,500) × 15% |
4,500 ~ 1억 | 5% | 1,200 + (총급여 – 4,500) × 5% |
1억 초과 | 2% | 1,975 + (총급여 – 1억) × 2% |
💡 예시: 총급여 6,000만 원인 경우
👉 1,200 + (6,000 - 4,500) × 5% = 1,275만 원
즉, 과세표준 = 6,000 – 1,275 = 4,725만 원
🔹 2024년 근로소득세 계산 예제
예제 1: 연봉 3,000만 원(총급여 3,000만 원) 직장인
- 근로소득공제: 750만 원
- 과세표준: 3,000 - 750 = 2,250만 원
- 소득세 계산: 2,250 × 15% - 108 = 232.5만 원
- 결정세액: 232.5만 원 + 지방소득세 (10%) = 255.75만 원
예제 2: 연봉 6,000만 원 직장인
- 근로소득공제: 1,275만 원
- 과세표준: 6,000 - 1,275 = 4,725만 원
- 소득세 계산: 4,725 × 24% - 522 = 610.8만 원
- 결정세액: 610.8만 원 + 지방소득세 (10%) = 671.88만 원
🔹 근로소득세 절세 방법
세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알아봐야겠죠? 😉
✅ 연금저축 & IRP 가입 → 연말정산 시 최대 700만 원 공제 가능
✅ 자녀 세액공제 활용 → 1인당 15~30만 원 공제✅ 보험료 & 의료비 공제 → 연말정산 시 의료비 15%, 보장성보험료 12% 공제
✅ 기부금 공제 → 기부금에 따라 15~30% 세액 공제
✅ 월세 세액공제 → 연간 750만 원 한도로 10~12% 공제
🎯 마무리
2024년 근로소득세는 소득 구간별 세율, 공제항목을 이해하면 미리 절세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. 😊
연말정산을 꼼꼼히 준비하면 환급도 받을 수 있으니 놓치지 마세요! 💰✨
궁금한 점은 댓글로 질문해주세요! 🙌